In Pace

페미니즘으로의 초대 본문

국제 이슈 콕콕

페미니즘으로의 초대

水晶 2024. 11. 19. 23:58

사건은 은모 교수의 통계수업에서 발생했다.

국제기구의 문을 두드려 봐야겠다는 결심을 하고 국제대학원에 입학했던 당시 나는 스물여덟이었다.

수업 중에 어떤 내용에서 파생됐는지 기억은 없지만 교수가 여학생들만 골라서 나이를 물었다.

내 차례가 됐을 때 크게 신경 쓰지 않고 나이를 밝혔고 교수의 코멘트는 과히 충격적이었다.

 

"목매달이네. 여자 나이 스물다섯 이하면 금메달, 스물여섯이면 은메달, 스물일곱이면 동메달, 스물여덟 이상이면 목매달. 껄껄껄.."

 

내 볼 양쪽에 붙어있는 귀가 뜨거워지는 게 느껴졌다.

웃으며 받아 칠 여유도 없었지만 어떻게 화를 내야 할지도 알 수 없었다.


 

그 당시 난 은교수의 농담이 모욕적이라는 생각만 했지 젠더 차별이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고 특히나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배운 적이 없다는 걸 뒤늦게 깨달았다.

무엇이 젠더 차별인지 이해하고 제대로 잘 싸워보겠다고 결심했지만 그럼에도 난 페미니스트로 분류되고 싶진 않았다.

페미니스트라는 단어로 연상되는 이미지가 내겐 너무 파격적이고 이질감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런 나의 편견을 제대로 깨준 연설이 있었으니 바로 영화 해리포터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엠마 왓슨의 유엔 연설이다.

 

카메라 앞에 수천만 번을 섰을 그녀이지만 떨리는 목소리는 그녀가 얼마나 긴장했는지 가늠케 한다.

남자들에게 페미니스트가 되어 달라고 초청하는 자리였지만 온 세상에 그녀가 페미니스트라고 공표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대중의 인기를 먹고사는 직업을 가진 그녀이기에 꽤나 큰 용기가 필요했으리라는 것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내가 그랬듯이 페미니스트, 페미니즘에 대해 거부감이 있다면 담담하게 전하는 그녀의 메시지를 꼭 한 번 들어보길 권유하고 싶다.

 

 

사진 클릭 >> 연설 영상으로 이동

 

Full transcript

 

Today we are launching a campaign called HeForShe. I am reaching out to you because we need your help. We want to end gender inequality, and to do this, we need everyone involved. This is the first campaign of its kind at the UN. We want to try to mobilize as many men and boys as possible to be advocates for change. And, we don’t just want to talk about it. We want to try and make sure that it’s tangible.

오늘 우리는 HeForShe라는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그리고 저는 여러분께 도움을 요청하고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 우리는 성 불평등을 끝내고 싶고 이를 위해선 모든 사람의 참여가 절실합니다. 이와 같은 캠페인은 UN에서 처음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가능한 많은 남성과 소년들이 변화의 옹호자가 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우린 양성평등에 대해 단순히 이야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를 실질적으로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자 합니다.

 

I was appointed as Goodwill Ambassador for UN Women six months ago. And, the more I spoke about feminism, the more I realized that fighting for women’s rights has too often become synonymous with man-hating. If there is one thing I know for certain, it is that this has to stop.

저는 6개월 전 UN 여성기구(UN Women)의 친선대사로 임명되었습니다. 그리고 페미니즘에 대해 이야기하면 할수록 여성의 권리를 위해 싸우는 일이 너무 자주 남성 혐오와 동일시된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제가 확실히 알고 있는 한 가지는, 이런 오해가 반드시 풀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For the record, feminism by definition is the belief that men and women should have equal rights and opportunities. It is the theory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equality of the sexes.

참고로, 페미니즘의 정의는 남성과 여성이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믿음입니다. 이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성평등 이론입니다.

 

I started questioning gender-based assumptions a long time ago. When I was 8, I was confused for being called bossy because I wanted to direct the plays that we would put on for our parents, but the boys were not. When at 14, I started to be sexualized by certain elements of the media. When at 15, my girlfriends started dropping out of sports teams because they didn’t want to appear muscly. When at 18, my male friends were unable to express their feelings.

저는 오래전부터 성별에 기반한 고정관념에 의문을 품기 시작했습니다. 8살 때 부모님을 위해 공연을 기획하려고 했던 저는 “우두머리 행세를 한다”라는 말을 들어야 했습니다. 저는 왜 그런 말을 들어야 하는지 의아했습니다. 남자아이들이 나설 경우 그런 말을 듣지 않았으니까요. 14살에는 언론에 의해 성적 대상화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15살이 되자 여학생들이 힘이 세어 보이고 싶지 않다는 이유로 스포츠 팀을 떠나기 시작하더군요. 18살 무렵에는 남학생들이 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려고 애쓰는 모습을 보게 됐습니다.

 

I decided that I was a feminist, and this seemed uncomplicated to me. But my recent research has shown me that feminism has become an unpopular word. Women are choosing not to identify as feminists. Apparently, I’m among the ranks of women whose expressions are seen as too strong, too aggressive, isolating, and anti-men. Unattractive, even.

저는 제가 페미니스트라는 결론을 내렸고 그건 제게 전혀 복잡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공부를 하다 보니 사람들이 페미니즘이라는 단어를 기피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여성들은 자신이 페미니스트라고 밝히기를 꺼려합니다. 듣자 하니 제가 표현이 강하고, 공격적이며 고립적이고, 남성 혐오적이라고 여겨지는 여성들 중 하나라고 하더군요. 심지어 매력이 없다고까지 합니다.

 

Why has the word become such an uncomfortable one? I am from Britain, and I think it is right I am paid the same as my male counterparts. I think it is right that I should be able to make decisions about my own body. I think it is right that women be involved on my behalf in the policies and decisions that will affect my life. I think it is right that socially, I am afforded the same respect as men.

왜 이 단어가 이렇게 불편한 단어가 되었을까요? 저는 영국 출신입니다. 남성 동료들과 같은 임금을 받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며 제 몸에 대해 스스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 삶에 영향을 미칠 정책과 결정에 여성들이 저를 대신해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제가 사회적으로 남성과 동일하게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But sadly, I can say that there is no one country in the world where all women can expect to see these rights. No country in the world can yet say that they achieved gender equality. These rights, I consider to be human rights but I am one of the lucky ones. My life is a sheer privilege because my parents didn’t love me less because I was born a daughter. My school did not limit me because I was a girl. My mentors didn’t assume I would go less far because I might give birth to a child one day. These influencers were the gender equality ambassadors that made me who I am today. They may not know it, but they are the inadvertent feminists who are changing the world today. And we need more of those.

그러나 안타깝게도 모든 여성이 이러한 권리를 기대할 수 있는 나라는 전 세계 어디에도 없습니다. 양성평등을 이뤘다고 말할 수 있는 나라는 단언컨대 아직 없습니다. 양성평등이 인간의 기본권이라고 생각하지만 저는 그저 운이 좋은 편에 속할 뿐입니다. 저희 부모님은 제가 딸이라는 이유로 저를 덜 사랑하지 않으셨습니다. 제가 다녔던 학교는 제가 여학생이라는 이유로 제 가능성을 제한하지 않았습니다. 멘토들은 제가 언젠가 아이를 낳을 수도 있다는 이유로 저의 장래를 미리 재단하지 않았습니다. 이분들은 오늘의 제가 될 수 있도록 도와준 양성평등의 대사들입니다. 그들은 자신도 모르게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는 페미니스트들입니다. 그리고 우린 이런 사람들이 더 많이 필요합니다.

 

And if you still hate the word, it is not the word that is important. It’s the idea and the ambition behind it, because not all women have received the same rights I have. In fact, statistically, very few have.

여전히 이 단어가 싫다면 단어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 뒤에 숨겨진 아이디어와 포부입니다. 왜냐하면 제가 누렸던 권리를 누리지 못하고 있는 여성들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사실 통계적으로 극소수의 여성만이 양성평등의 권리를 누리고 있습니다.

 

In 1995, Hillary Clinton made a famous speech in Beijing about women’s rights. Sadly, many of the things that she wanted to change are still true today. But what stood out for me the most was that less than thirty percent of the audience were male. How can we effect change in the world when only half of it is invited or feel welcome to participate in the conversation?

1995년, 힐러리 클린턴이 베이징에서 여성 권리에 대한 유명한 연설을 했습니다. 안타깝게도 그녀가 바꾸고자 했던 많은 것이 여전히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제게 더 심각하게 다가왔던 점은 힐러리의 연설을 들었던 청중 중 남성은 오직 30% 정도에 그쳤다는 사실입니다. 세상의 절반만이 대화에 참여하도록 초대받은 느낌이 든다면 어떻게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까요?

 

Men,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extend your formal invitation. Gender equality is your issue, too. Because to date, I’ve seen my father’s role as a parent being valued less by society, despite my need of his presence as a child, as much as my mother’s. I’ve seen young men suffering from mental illness, unable to ask for help for fear it would make them less of a man. In fact, in the UK, suicide is the biggest killer of men between 20 to 49, eclipsing road accidents, cancer and coronary heart disease. I’ve seen men made fragile and insecure by a distorted sense of what constitutes male success. Men don’t have the benefits of equality, either.

남성 여러분, 이 기회를 빌려 정식으로 초대하고 싶습니다. 양성평등은 여러분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어린 시절 제게 아버지의 존재는 어머니만큼이나 중요했습니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부모로서 아버지의 역할을 덜 가치 있게 여기고 있습니다. 저는 정신 질환으로 고통받으면서도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는 젊은 남성들도 보았습니다. 그들은 도움을 요청하면 남성답지 못하다는 낙인이 찍힐까 봐 두려워합니다. 사실 영국에는 20세에서 49세 남성 사이에서 자살이 교통사고, 암, 관상동맥 심장병보다 더 큰 사망 원인입니다. 저는 남성에게 들이대어지는 성공의 왜곡된 잣대 때문에 상처받고 불안해하는 남성들을 봅니다. 이는 남성 또한 평등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We don’t often talk about men being imprisoned by gender stereotypes, but I can see that they are, and that when they are free, things will change for women as a natural consequence. If men don’t have to be aggressive in order to be accepted, women won’t feel compelled to be submissive. Both men and women should feel free to be sensitive. Both men and women should feel free to be strong. It is time that we all perceive gender on a spectrum, instead of two sets of opposing ideals. If we stop defining each other by what we are not, and start defining ourselves by who we are, we can all be freer, and this is what HeForShe is about. It’s about freedom.

우리는 남성이 성별 고정관념에 갇혀 있다는 점을 자주 논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저는 그들이 고정관념에 갇혀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그들이 자유로워질 때 여성들을 위한 변화도 자연스럽게 일어날 거라고 믿습니다. 남성이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위해 공격적일 필요가 없게 되면 여성은 순종적이어야 한다는 압박을 느끼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남성과 여성 모두 '민감할 자유'를 누려야 합니다. 남성과 여성 모두 '강할 자유' 또한 누려야 합니다. 이제 우리는 성별을 대립하는 두 가지 이상(理想)이 아니라 스펙트럼으로 인식해야 합니다. 서로를 우리가 아닌 것으로 정의하는 것을 멈추고 우리 자신을 우리가 스스로 정의하기 시작한다면 우리는 모두 더 자유로워질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HeForShe의 목표입니다. 이 캠페인은 자유에 관한 것입니다.

 

I want men to take up this mantle so that their daughters, sisters, and mothers can be free from prejudice, but also so that their sons have permission to be vulnerable and human too, reclaim those parts of themselves they abandoned, and in doing so, be a more true and complete version of themselves.

저는 남성들이 이 역할을 맡아 그들의 딸, 누이, 어머니들이 편견에서 자유로워지길 원합니다. 또한 아들들이 약해지고 인간적인 면을 드러낼 수 있도록 용인되고 스스로 버렸던 그 일부를 되찾아 더 진정한 그리고 완전한 자신이 되기를 바랍니다.

 

You might be thinking, “Who is this Harry Potter girl, and what is she doing speaking at the UN?” And, it’s a really good question. I’ve been asking myself the same thing.

아마도 여러분은 “이 해리포터 여배우가 누구이며 왜 UN에서 연설을 하고 있는 거지?”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정말 좋은 질문입니다. 저 역시 같은 질문을 제 자신에게 던져왔습니다.

 

All I know is that I care about this problem, and I want to make it better. And, having seen what I’ve seen, and given the chance, I feel it is my responsibility to say something.

제가 찾은 답은 제가 이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고 개선되길 원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기회가 주어진다면 제가 목격한 것에 대해 말하는 것이 저의 책임이라고 느낍니다.

 

Statesman Edmund Burke said, “All that is needed for the forces of evil to triumph is for good men and women to do nothing.”

정치가 에드먼드 버크는 “악이 승리하는 데 필요한 유일한 것은 선량한 남성과 여성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In my nervousness for this speech and in my moments of doubt, I told myself firmly, “If not me, who? If not now, when?” If you have similar doubts when opportunities are presented to you, I hope those words will be helpful. Because the reality is that if we do nothing, it will take seventy-five years, or for me to be nearly 100 before women can expect to be paid the same as men for the same work. 15.5 million girls will be married in the next 16 years as children. And at current rates it won’t be until 2086 before all rural African girls will be able to receive a secondary education.

이 연설을 준비하면서 긴장과 의구심 속에서 저는 스스로에게 단호하게 말했습니다. “내가 아니면, 누가? 지금 아니면, 언제?” 여러분도 기회가 주어졌을 때 비슷한 의구심을 느낀다면 이 말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여성이 동일한 업무에 대해 남성과 동일한 임금을 기대할 수 있기까지 75년이 걸릴 것입니다. 제가 거의 100살이 되었을 때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16년 동안 1,550만 명의 소녀들이 어린 나이에 결혼하게 될 것이고, 현재 속도로는 2086년이 되어야 모든 아프리카 시골 지역 소녀들이 중등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If you believe in equality, you might be one of those inadvertent feminists that I spoke of earlier, and for this, I applaud you. We are struggling for a uniting word, but the good news is, we have a uniting movement. It is called HeForShe. I invite you to step forward, to be seen and to ask yourself, “If not me, who? If not now, when?”

여러분이 평등을 믿는다면 앞서 말한 숨어있는 페미니스트 중 한 명일 수 있습니다. 그런 여러분께 박수를 보내드립니다. 우리는 우리를 하나로 묶을 수 있는 단어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다행스러운 것은 그런 운동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HeForShe입니다. 당신이 용기 내어 페미니스트로 나서길, 또 스스로에게 질문하기를 요청드립니다. “내가 아니면, 누가? 지금 아니면, 언제?”

 

Thank you very, very mu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