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Pace

필터 버블 (Filter Bubble) 본문

국제 이슈 콕콕

필터 버블 (Filter Bubble)

水晶 2025. 2. 19. 15:43

어머니의 이웃 중에 극우파가 계신다.

대한민국이 빨갱이의 나라가 될까 봐 전전긍긍하시는데 그분이 사실이라고 믿는 대부분의 정보는 너튜브에서 들으신 얘기이다.

당신은 절대 한 채널만 시청하는 게 아니어서 거짓일 수 없다고 주장하시는데 너튜브 알고리즘의 족쇄에 묶여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시지 못하는 까닭이다.

 

나를 비롯해 현대인들의 일상에서 소셜미디어에 접속해 있는 시간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하지만 우리는 그 긴 시간 동안 생각만큼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지 않는다.

소위 내 입맛에 맞는 정보를 찾아다니게 되는데 이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이미 알고 있는 정보와 새로운 정보가 불일치하는 (모순되는) '인지부조화'를 잘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인간의 심리를 잘 알고 있는 소셜미디어 사업자들은 사용자들이 입맛에 맞는 정보에 끊임없이 노출되도록 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해 놨는데 그게 바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알고리즘'이다.

 

사용자들이 보다 오랜 시간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머무르도록 하기 위한 사업자들의 전략이지만 그로 인해 우리는 유사한 의견과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끼리만 소통하게 되는 '필터 버블' 안에 들어가게 된다. 이 버블 안에 갇히게 되면 한쪽으로 편향된 사고를 할 가능성이 커지는 것은 물론이고 만약 가짜 뉴스로 뒤범벅된 버블일 경우, 그 폐해는 더 심각하다.

 

그래서 "The Filter Bubble: What the Internet is Hiding from You (필터 버블: 인터넷이 당신에게 감추고 있는 사실)"의 저자 Eli Pariser은 소셜미디어를 사용할 때 스스로 필터 버블을 터뜨리는 -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이용하고,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찾아보고, 내 의견과 반대되는 내용의 정보들도 읽고 시청하는 -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된다고 설명한다.

 

너무 귀찮아서 그런 것까지 할 의욕이 없다면 최소한 브라우저의 '쿠키'와 '검색 기록'을 자주 삭제하고, 맞춤형 광고를 끄고,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노력만으로도 어느 정도 '필터 버블'에 갇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